▶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어촌지하수관측망시스템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지하수위현황
지하수위경보
해수침투경보
수질등급정보
관측소제원
관측자료조회
관측자료 통계
관측자료분석
지하수관측망시스템은 지하수 관측 종합정보를 제공합니다.
농어촌지하수관측망 자료 연계
서비스목록
농어촌지하수관측망 자료 연계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중인
농어촌지하수관측망*
의 관측소정보, 관측자료 및 경보정보를 제공합니다. 위치, 시추 및 지층정보 등의 관측소정보, 시간자료와 일자료(12시) 형태로 제공하는 관측자료와 관측자료의 실시간 분석을 통한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 경보 자료를 제공합니다.
*농어촌지하수관측망
: 농촌지하수관리관측망, 해수침투관측망
자료 연계 제공데이터 목록
관측소 제원정보 : 위치정보, 관측정보, 지층정보, 센서설치심도 등
시간별관측소 제원정보데이터 : 매 시간마다 측정되는 관측자료
관측자료 : 지하수위(지표면기준, 해수면기준), 전기전도도(상부, 하부), 수온(상부, 하부)
일데이터 및 경보 : 매일 12:00(정오)마다 측정되는 관측자료 및 경보자료
지하수위 경보 : SGI에 의한 순별 지하수위 경보(상순,중순,하순)
해수침투 경보 : 전기전도도 수치에 의한 해수침투 경보
지하수위 경보 기준
해수침투 경보 기준
SGI(표준지하수위지수)에 의한 단계구분
지하수위 경보 기준
내용
단계
기준
(SGI 백분위수)
가뭄강도
정상
24% 이상
정상(Near Normal)
주의
13 ~ 24%
보통가뭄(Moderate drought)
경계
5 ~ 13%
극심가뭄(Severe drought)
심각
5% 미만
심각가뭄(Extreme drought)
내용
단계
염도(‰)
(전기도도,(㎲/㎝))
지하수 이용
정상
0.45 이하
(<700)
논(수도작) 및 밭작물에 이용
주의
0.45 ~ 0.64
(700~1,000)
논(수도작)에만 이용 권고
경계
0.64 ~ 1.92
(1,000~3,000)
염도가 없는 지표수(저수지,하천수 등)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논(수도작)에만 이용 권고
심각
1.92 이상
(>3,000)
농업용수 이용 금지 권고
염도(전기전도도) 범위는 FAO(식량농업기구) 분류기준을 세분화하여 적용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 : 물속의 이온량 농도로서 인위적인 오염이나 해수침투상태를 파악하는 인자로 활용됨.(EC 1000μS/m ≒ 염분 640㎎/L ≒ 염도 0.064%)
자료 연계 이용방법
농어촌지하수관측망에 접속합니다.
자료 연계 제공목록을 확인합니다.
시스템담당자와 사전협의를 진행합니다.
공문발송 후 인증키를 발급 받습니다.
자료 연계 사용신청서
자료 연계를 활용하여 컨텐츠를 개발합니다.
지하수위 경보 기준
SGI(표준지하수위지수)에 의한 단계구분
내용
단계
기준
(SGI 백분위수)
가뭄강도
정상
24% 이상
정상(Near Normal)
주의
13 ~ 24%
보통가뭄(Moderate drought)
경계
5 ~ 13%
극심가뭄(Severe drought)
심각
5% 미만
심각가뭄(Extreme drought)
SGI(표준지하수위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level Index)
장기간 관측된 지하수위 변동자료를 표준강수지수(SPI)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규분포화 하여,
강수량 부족에 따른 지하수 대수층의 상태를 지수로 수치화하여 표시한 것
SGI 개념도(예시)
출처 : ICT 기반의 지하수위 실시간 분석에 의한 농업가뭄 평가 기술 개발 (2017, 농어촌연구원)
Analysis of groundwater drought building on the standardised precipitation index approach (2013, Bloomfield & March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