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water resource management project 제공주제도
관정개발밀도 현황
행정구역의 단위면적당 관정수를 나타낸 주제도로 수치가 높을수록 지하수개발이용이 활발한 지역임을 나타냅니다.
지하수위 현황
지하수위는 인위적인 양수 또는 주수를 하지 않은 자연적인 평형상태의 지하수위를 의미하며,일반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로 나타내나 해당 시스템에서는 해수면기준 지하수위와 지표면기준 지하수위를 구분하여 제공함 지하수위는 지하수의 유동 방향 및 부존 특성(지하수 함양 및 배출지역 구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축사 등 잠재오염에 의한 오염 유발 시 지하수 수질의 변화 및 오염 특성 등을 예측할 수 있어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와 오염 예측이 가능합니다.
참고
지하수위는 수문 기상조건 및 지하수의 양수 등에 따라 끊임없이 변동하고 있어, 대수층 내의 지하수량 증감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함. 만일 지하수위가 내려가면 대수층 내의 지하수량이 고갈되어 가는 중이고 지하수위가 상승하면 대수층 내로 지하수가 함양되어 지하수량이 증가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지하수위의 변동은 그 지역 지하수체의 저류량 변화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위의 강하 및 상승은 강우에 의한 지하수 함양, 인위적인 양수, 조석간만에 의한 영향, 대기압의 변동 및 바람의 영향, 관정 설치 주변의 하중 변화, 상하수도에 의한 인위적인 충진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전기전도도 현황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지구화학적인 반응의 정도와 그에 따른 지하수의 심도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위적인 오염이나 해수의 혼입에 의해 그 값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C는 지하수 유동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인위적인 오염이나 해수의 침투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습니다.
전기전도도 현황물의 종류에 따른 전기전도도 (단위 : μS/cm)
물의 종류 | 전기도도 | |
---|---|---|
Hem(1985) | Cleary(1990) | |
순수한 물(증류수 포함) | 0.05 | 0.5 ~ 2 |
눈 녹인 - | 0.05 | - |
일반수(원수) | - | 50 ~ 500 |
광화수 | - | 50 |
산업폐수 | - | 10,000이상 |
해수 | 41,500 이상 | - |
고염수 | 225,000 | - |
수소이온농도 현황
일반적으로 수소이온은 광물의 풍화과정 중에서 소모되므로 물-암석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TDS, EC와 마찬가지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H 값에 따른 수질의 분류는 pH 값이 5.5이하이면 산성, 5.5~6.5까지는 약산성, 6.5~7.5사이는 중성, 7.5~9.0까지는 약알카리성, 그리고 9.0 이상이면 알칼리성으로 분류하며, 수소이온농도의 먹는물 수질환경기준은 5.8~8.5입니다.
참고
pH의 증가 경향은 대수층을 구성하는 지질 매체의 광물 조합 및 물-암석 반응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따라서 pH는 지질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변화에 가장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지하수 내에 용해되어 있는 중탄산염이온(HCO3-)이나 탄산가스(CO32-)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며,
뿐만 아니라 해수(pH≒8.3)의 유입이 있을 경우 해수의 높은 pH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그 영향은 작습니다.
지하수 오염취약성 현황
수리지질학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수치적으로 평가하고 전체 인자들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7가지의 인자 즉, 지하수면까지의 깊이(D), 지하수 충진량(R), 대수층의 매질(A), 토양 매질(S),
지형(T), 비포화대의 영향(I)과 대수층의 수리전도도(C)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인자에 지하수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 및 등급을 크게 적용하여 분석한 자료
참고
지하수 오염취약성(DRASTIC) 이란 일정한 지역에서의 지하수오염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987년 미국 환경청(EPA)과 미국 지하수협회(NGWA)의 전신인 미국 정호협회(NWWA)에 의하여 개발된 지하수오염 취약성 평가 모델(EPA-600/2-87-035)
지하수 오염예측 현황
일반적인 지하수 오염 취약성도(DRASTIC)와 잠재오염원 부하량을 중첩시킨 오염 예측도를 비교ㆍ검토함으로써 잠재오염원의 영향을 파악하고 보다 세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지역 경제발전에 필수적으로 따르는 개발 관련 신규 시설물(잠재 오염원)을 되도록 오염 확산에 저항력이 강한 지역으로 유도하고, 오염 취약지구는 수질보호 정책을 강화 추진함으로서 청정한 지하수 자원을 보전, 이용, 관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합니다.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현황
지하수 개발 가능량(Safe Yield)은 수문 순환계를 파괴하지 않고 지하수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대수층으로부터 양수할 수 있는 지하수량에 해당합니다. 지하수 함양량을 이용하여 적정 개발 가능량을 설정하여 개발 가능량 대비 이용량 현황을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단위면적당 이용량 현황
조사지역 내 관정의 용도별 지하수 이용량을 조사하여 읍면별 및 유역별 지하수이용현황을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지하수 종합 현황
- 조사지역 내 지하수 수량 및 수질관리지역으로 분류되는 각 리에 대해서 조사지역 특성에 맞게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종합 대책을 제시
- 수량관리지역 선정항목 : 적정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 단위면적당 지하수이용량, 관정밀도
- 수질관리지역 선정항목 : 질산성질소 평균농도,잠재오염원 분포밀도, DRASTIC Index,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
수맥조사지구 현황
수맥조사는 농어촌용수 종합개발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지표수 개발이 불리한 농어촌 지역에 실시하여, 지대별 지하수 부존량을 파악하고 향후 지하수 개발사업 계획 수립에 활용하고자 함입니다. 수맥 조사지구 현황은 채수가능 지역을 영역으로 나타낸 자료입니다.